본문 바로가기

drifter/비평 한 발짝8

구조주의 비평 1. 구조란 구조주의 적업은 구조라는 말의 사용과는 상관이 없다. 건물의 물리적 견고성과 미학적 가치를 알아내고자 건물의 구조를 점검하는 행위보다는 건축의 기계적 원칙과 예술적 형식물, 건물들의 기본원리와 관련지어서 모든 건축의 물리적 구조를 점검하는 과정이 구조주의 작업이라 말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건물의 구조가 어떠한 구조체계 속에 있는지 살펴보고 하는 과정 말이다. 구조주의적 작업의 첫쨰는 하나의 구조적 분류체계를 만드는 작업이고, 둘째는 그 하나의 개별적 양상이 특정한 구조적 범주 속에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피는 작업이다. 2. 구조주의적 작업 문학에 있어서 구조주의적 작업도 동일하다. 어떤 단편 소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것이 좋은 지와 나쁜 지에 관해서 평을 내리는 것은 구조.. 2020. 6. 9.
독자반응 비평 1. 독자반응비평이란 독자반응비평은 그 범위가 상당히 광범위한 비평이론이다. 문자 그대로 문학텍스트에 대한 독자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에 독자의 반응이 텍스트의 의미로 직결된다는 점에서 제한적이거나 한계점을 보이게 된다. 즉, 텍스트에 관한 독자의 반응이 불충분한 반응으로 평가받을 수도 있고, 다른 독자의 독자반응보다 충분치 않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단순히 본인의 반응을 드러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독자의 반응까지 분석할 수 있는 태도가 요구된다. 동일한 독자여도 다른 독자반응비평이 나올 수 있다. 동일한 텍스트를 여러 번 읽을 때에 발생하는 이러한 현상은 독자반응비평의 독특한 특징 때문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집에 관한 글을 읽는 다 할 때, 집을 살 목적으.. 2020. 6. 2.
신비평 1. 신비평이란 신비평은 비평 역사 가운데서 독특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비평이다. 유일하게 더 이상의 발전을 하지 않는 비평으로써 40년대에서 60년대에 완성된 비평이론이다. 하지만 그때의 문학비평형태가 오늘까지 문학작품의 비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일한 비평이다. 이렇듯 40년대와 60년대 사이에서 멈춰버린 비평이론이 오늘날까지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는 까닭은 대부분의 비평이론들이 신비평에 대한 반발로 나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비평에 대한 이해는 지금을 사는 우리들에게도 그 필요성이 충족되고 있다. 신비평의 핵심개념은 문학 작품 안에서 찾은 구체적 사건들을 토대로 자신의 해석을 입증한다는 것이다. 신비평 이전의 문학비평으로써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의 비평이론들은 저자에 집중하고 있었다. 저자의 .. 2020. 5. 6.
여성주의 비평 1. 여성주의 비평 여성주의 비평은 정신분석 비평과 막스주의 비평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통적 사회 안에서의 여성들이 겪는 억압을 두 이론과의 접목을 통해 해결점을 찾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페미니즘은 중산층의 전문직 백인 여성을 위한 운동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즉, 페미니즘이 여성운동의 전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여성주의가 페미니즘을 포함하는 의미로써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성주의 안에 페미니즘이 존재할 수 있지만 페미니즘 안에 여성주의가 포함될 수 없다. 어찌됐든 여성주의과 페미니즘 안에서 여성을 약자, 비존재, 비인간으로써 보고 있다는 점은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페미니즘은 중상층 이성애자 백인여성을 중심으로 일어난 여성해방 운동이고, 여성주의는 억압당하는 다양한 여.. 2020. 4. 28.